#사이트/블로그
사이트 또는 블로그를 시작하고 운영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내용들. 워드프레스와 같은 CMS 또는 사이트 빌더를 통한 설치, 관리에 필요한 플러그인, 테마와 같은 정보와 함께, 구글, 네이버와 같은 검색엔진에 최적화 되도록 설정하는 방법들에 대해 써 봄.
최소한 알고 감직한 기본적인 워드프레스 사용법에 대해 써 봄. 아예 원페이지 통짜 강좌/가이드처럼 써 볼까도 했지만, 내가 워드프레스를 처음 써보는 사용자라면 넘모 부담스러워서 안 쓰고 //더보기
요즘은 웹호스팅 업체들의 기능 지원 덕분에 굳이 직접 워드프레스 설치를 할 필요가 없어졌다고는 해도 특정한 상황에서는 수동 설치가 필요한 경우가 있음. 이런 경우를 위해 웹호스팅을 //더보기
이론상 연장만 하면 평생 무료 호스팅으로 쓸 수 있는 닷홈 무료 호스팅. 단점은 많아도 학습 용도로는 딱임. 물론, 비슷하게 도메인만 구매하면 무료로 쓸 수 있는 //더보기
무료 호스팅이 실사용 웹사이트로는 제약이 크지만 워드프레스와 같은 CMS 맛보기, HTML/CSS/JS와 같은 코딩 연습에는 아쉬울 것 없이 쪼물딱거리며 사용하기에는 딱임. 그래서, 학습 목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더보기
워드프레스를 시작하기 위해 찾아보니 워드프레스 설치형(WordPress.org)과 가입형(WordPress.com) 두 가지가 있음. 가입형 워드프레스는 호스팅도 필요 없고, 가격도 무료인 플랜이 있으니 뭔가 땡길 순 있음. 그래서 가입형이 //더보기
개발자가 아닌 이상 웹사이트 빌더나 CMS(콘텐츠 관리 시스템)를 통해 웹사이트를 제작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은 건 알겠는데, 막상 웹 빌더란 뭐고 CMS란 뭔지 둘의 차이는 또 //더보기
네이버,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블로그 모두 사람마다 추천하는 건 다 다르니 시작부터 고민됨. 물론, 다양한 워드프레스 테마와 플러그인은 매력적이지만 복잡한 워드프레스 사용법을 학습해야 한다는 말은 몹시 //더보기
나 응애 워드프레스(WordPress)란 게 뭔지 모름. 오픈소스라 어쩌고 뭐고 하는데, 실제로 워드프레스 장점이 뭐고 단점이 뭔지 궁금함. 그래서 워드프레스란 무엇인가? 알.아.보.자.
보통 도메인 이름을 보면 익숙하면서도 얄딱구리함. 또, 도메인 종류 구분에 있어서도 애매모호함. 그래서 최상위 도메인부터 서브도메인까지 도메인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나 응애 뉴비, 도메인/호스팅이란 게 뭔지 모호함. 도메인 만들기도 전에 머리가 아파 옴. 그래서 도메인 뜻? 호스팅 뜻? 뭐가 뭐고 어떤 의미인지 알.아.보.자.
보통 국내 웹호스팅 업체에서 구분하는 웹호스팅이란 정의는 몹시 얄딱구리함. 그러다 보니 VPS 호스팅이란 게 뭔지 개념조차 알아먹기 힘듦. 그래서 기본적으로 웹호스팅 뜻 부터, 국내에서 가상 //더보기
DNS란 건 뭐고, DNS 서버란 건 뭐고, 네임서버란 건 뭐고 이름부터 혼란스러운 개념. 사용자의 입장에서 왜 DNS 역할이 필요한지와 추천할 만한 무료 네임서버에 대해서 알.아.보.자.
SSL 인증서란 게 없다면, 도메인 주소에 HTTPS 적용이 되지 않음. 그리고 검색엔진에 있어서 HTTP/HTTPS 차이는 몹시 큼. 그리고 또 국내 도메인 업체들을 보면 무료 SSL은 //더보기
Whois 도메인 조회 기능을 사용하면 아무나 쉽게 도메인 정보에 개인정보까지 확인할 수 있음. 또 도메인 주소만 알면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 노출에 취약함. //더보기
막상 찾아보면 국내 도메인 판매 업체의 얄딱구리한 도메인 가격 책정 덕분에, 해외로 눈을 돌리는게 이득임. 해외에선 무료 지원이 되는 기능이 국내 업체에선 부가 기능으로 돈 //더보기
이제 워드프레스 설치가 다 되었다면 도메인 연결을 해줘야 함. 그리고 일반적으로 호스팅과 도메인 업체가 다르다면 DNS 서버를 호스팅 쪽으로 잡아줘야 됨. 그래서 아마존 라이트세일 네임서버로 //더보기
조금 검색만 하면 워드프레스 설치나 자잘한 정보들은 많은데, 막상 워드프레스 백업과 워드프레스 이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글들이 없어서 써 봄. 특히 아마존 라이트세일을 //더보기
“워드프레스 설치가 바로 가능하면서 싸고, 트래픽도 무제한”이라던 블루호스트를 버리고 VPS 호스팅인 아마존 라이트세일(Lightsail)로 갈아탐. 왜냐? 이런 조건의 웹 호스팅에서 말하는 무제한이 일정 속도 제한을 두는 //더보기
보통 아무리 싸게 도메인 등록을 했다고 해도 1년 지나고 도메인 연장을 하려고 보면 몹시 비싸짐. 그래서 짜치는 우린 보통 매년 여기저기 도메인 싼곳을 찾아 도메인 //더보기
도메인 구입 시, 신경 쓸 건 생각보다 많음. 단순하게 도메인 등록 비용 말고도 SSL/Whois Privacy Protection/네임서버를 어떻게 쓸지 말지 고민 됨. 그런데 네임칩/네임사일로/포크번과 같은 업체들과 //더보기
웹 호스팅이고 VPS이고 WordPress 설치가 끝났다면, 기본적으로 어떻게 워드프레스 테마/플러그인를 구성해서 쓸 지를 고민해야 됨. 기본적인 국내 블로그 서비스를 사용하다가 갈아타게 된다면 선택권이 몹시나 많아 //더보기
블루호스트와 같은 해외 웹 호스팅을 사용한다면 워드프레스 속도 개선 방법. 뭐뭐가 있나 엄청 찾을 거임. 엄청난 개선 방법은 호스팅을 바꾸는 것 말고는 특별한 방법은 없지만 //더보기
워드프레스 업데이트를 매번 하나하나 수동으로 해주는 것도 몹시 귀찮음. 단순하게 워드프레스 버전 업데이트만 있는 게 아니고 워드프레스 테마/워드프레스 플러그인 제작자들이 정기적으로 꾸준히 업데이트 하기 때문에 //더보기
워드프레스 아바다 테마(AVADA) 업데이트 후, 지 맘대로 요상한 한글 번역 업데이트가 됨. 그리고 보통 워드프레스 업데이트에는 롤백 기능이 없음. 알아보니 이런 경우 번역 파일만 삭제하면 //더보기
워드프레스 블로그를 시작하고 하나하나 건드리다 보면 아무튼 처음은 뒤죽박죽 됨. 그래서 기본적으로 워드프레스 테마 삭제/수정/초기화 및 플러그인, DB 모두 갈아엎어야 하는 상황이 한 번은 생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