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구글 우회 안됨? 구글의 구조부터 알아보겠음.
안타깝게도, 국내에서는 사용자 성인인증 없이 구글 검색을 하게 될 때 즈그 맘대로 정상적인 문서들까지 필터링하는 세이프서치라는 기능이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지역의 사용자들에 비해서 굉장히 제약적인 검색결과만 볼 수 있음. 별 거 아닐 수도 있지만 성인인증이라는 게 생각보다 요래조래 거슬리는 부분이다 보니 얼마 전 까지만 해도 이 성인인증 우회를 목적으로 해외 구글 주소로 접속하는 방법을 쓰는 사람들도 꽤 있었으나 구글의 기능 업데이트로 인해 전혀 사용할 수 없는 방법이 되었음.
사실, 구글의 세이프서치 런칭 이후로 사람들이 새로운 구글 우회 방법을 찾고 기능 업데이트로 인해 못 쓰게 되는게 주기적으로 반복이 되다 보니 나중의 변경사항에 대처하기 위해서라도, 또 단순 세이프서치 해제의 목적이 아니라 특정 해외 지역에서 구글 검색결과가 어떻게 보여지는지 제대로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단순하게 지금 사용은 가능하지만 언제 못 쓰게 될 지 모르는 영국, 호주, 캐나다 구글 우회 링크 등 뭉탱이로 몇 개 던져 놓고 짤막하게 글을 끝맺는 것 보다는 기본적인 구글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 나서 앞으로도 꽤 오랫동안 사용 가능할 만한 우회 방법과 영영 뒤져버린 방법에 대해 나눠서 알아보겠음.
먼저, 사용하는 입장에서 대부분이 딱히 생각해 본 적은 없겠지만, 구글은 국가별 구글을 별도로 운영하고 나라별 구글마다 등록된 웹문서에 대한 DB 또한 별개임. 물론, 외형적으로나 기능적으로나 크게 차이는 없어 보여 동일한 하나의 구글로 생각할 수 있겠지만, 각 국가의 구글마다 동일한 키워드로 검색하게 되었을 때 위 이미지처럼 DB로부터 반환된 문서들의 수에서도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고 검색결과도 다른 것을 볼 수 있음. 게다가, 국가별로 운영하는 방식도 다르기 때문에 구글 세이프서치 런칭 초창기에는 한국 구글에만 적용되어 해외 구글로 접속할 수만 있다면 세이프서치가 해제되는 이유이기도 했음.
허지만, 현시점의 구글은 과거처럼 한국 구글에 접속한 사용자에 한해서 세이프서치를 강제 적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어떤 국가의 구글로 접속한다고 해도 한국을 비롯한 법적/사회적으로 까탈스러운 국가/지역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모두 디폴트 값으로 적용해버리는 방식이라 앞에서 말했던 해외 구글 주소로 어찌어찌 접속하던 방법들은 모두 쓸모없게 되어 버림.
게다가, 내가 한국에 있다고 해도 단순하게 Google.co.uk, Google.co.jp와 같은 해외 구글 주소를 브라우저에 입력한 뒤 검색한다면 그 나라의 검색결과를 온전하게 볼 수 있던 옛적과는 달리, 요즘은 위 이미지처럼 해외 구글 URL은 변동이 없어 보여도 내 한국 IP 주소가 반영된 위치정보 값에 의해 자동적으로 한국 구글의 DB로부터 반환되는 그저 한국 구글의 검색결과를 볼 수 있음. 따라서, 예전의 구글 우회 접속 방법이라고 하던 것들이 어찌어찌 해외 구글로 접속하기만 하면 해결되는 문제였다면, 지금은 IP 주소에 의해 반영되는 위치 정보 값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방법만이 유효하다고 볼 수 있겠음.
옛적에나 쓰던, 뒤지신 구글 우회 방법
결국, 한국 사용자라면 한국 IP 주소에 의해 영국, 호주, 캐나다, 러시아, 일본 등의 구글에 인위적으로 접속한다고 해도 검색결과는 한국 구글로부터 받게 되니 IP 주소로부터 반영된 위치정보 값을 변경하지 못하는 방법은 모두 뒤지신 구글 우회 방법이라고 볼 수 있겠음.
#Google NCR 파라미터 사용
별도의 문서에 더 자세하게 쓴 적이 있지만 간단하게 알고 넘어가자면, Google.com/ncr과 같이 특정 국가의 구글 주소 뒤에 /ncr이라는 URL 파라미터(또는 매개변수라고 함)를 인위적으로 붙여 사용하던 방법임. 여기서 URL 파라미터는 위 이미지처럼 검색엔진이나 대형 서버에서 사용자의 검색설정/사용환경을 기록 및 활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URL 뒤에 보여지도록 만들어진 것이라고 이해하면 그나마 좋을 것 같고, 역으로 사용자가 이 파라미터들이 뭘 의미하는지 알고 있다면 브라우저에서 URL만 약간 수정하여 검색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음.
그 중, NCR 파라미터는 No Country Redirection의 줄임말로 IP 주소에 의해 사용할 구글의 국가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최근의 구글 환경을 무시하는 역할을 하여, 한국 사용자라고 해도 브라우저에 Google.com/ncr을 입력하기만 한다면 미국 구글 접속과 검색결과를, Google.co.uk/ncr을 입력한다면 영국 구글 접속과 검색결과를 볼 수 있었음. 허지만, 얼마 전의 구글 업데이트 이후로 구글에서 불필요한 URL 파라미터라고 생각해 삭제했는지 일부 영미권을 제외하고 모든 국가의 구글에서 404 페이지를 보여주기 시작했고 나머지도 시간차를 두고 동일하게 404 페이지를 보여주고 있음. 결국, 구글 자체적으로 파라미터를 제거했다고 보면 되니 이미 뒤진 우회 방법이라고 보면 되겠음.
#HL 파라미터 사용
google.co.jp/webhp?hl=en
위 URL 같은 경우가 구글 우회 설정에 대한 내용을 찾아보면 가장 많이 나오는 방법의 예시인데, 각 파라미터들이 뭘 의미하는지 알면 전혀 근거 없는 소리라는 것을 알 수 있고 당연히 우회하는 역할도 하지 못 함. 먼저, Google.co.jp 뒤에 바로 붙는 webhp는 구글의 Web HomePage의 약자로 imghp와 같이 사용자가 어떤 경로로 검색했는지 구글이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사용자에게는 전혀 불필요한 파라미터이므로 굳이 붙여 쓸 필요가 없음.
그 뒤에 ‘?’와 함께 붙는 HL 파라미터는 hreflang의 약자로 유래부터 설명하면 복잡하니 간단하게 문서의 언어 설정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임. 다시 말하자면, 일본 구글에서 HL 파라미터 값으로 영어를 의미하는 ‘en’으로 바꾼다고 영미권 구글로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일본 구글을 사용하되 보여지는 인터페이스만 영문으로 바뀌는 역할을 함. 게다가, 앞에서 주구장창 말했던 것처럼 한국 IP를 사용하고 있다면 일본 구글 주소로 접속한다고 해도 자동으로 전환되어 한국 구글로부터 검색결과를 반환 받게 되니 영문 인터페이스의 한국 구글 검색결과를 보는 것과 같음. 결국, 그냥 해외 구글 주소로 접속하는 방법에 쓸 데 없는 미사여구만 붙여 놓은 뒤지고도 한참 지난 방법이니 전혀 쓸모 없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겠음.
지금도 사용 가능한 구글 우회 접속 및 설정
계속 말한 것처럼 해외 구글 주소로 접속하려고 호들갑 떠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므로, IP 주소로부터 반영되는 위치정보 값에 따라 사용될 구글의 국가가 정해진다는 것을 알고 이 위치정보 값을 덧 씌울 수 있는 방법들을 보면 해결책이 되겠음.
#GL 파라미터 사용
google.com/?gl=au
앞에서 본 HL 파라미터와 비슷하게 사용되는 URL 파라미터로 GL 파라미터가 있음. HL 파라미터가 언어 설정을 의미한다면, GL 파라미터는 Geolocation의 약자로 위치정보 값을 말함. 일반적인 구글 검색 시, URL에 보이지는 않는 상태이지만 사용자의 IP 주소로부터 GL 파라미터 값이 반영되고 이 위치정보에 의해 검색결과를 반환할 국가 DB가 정해진다고 보면 좋겠음.
따라서, 불필요하게 해외 구글 주소를 사용할 필요 없이 범국가적 도메인이라고 할 수 있는 Google.com 뒤에 ‘/?gl=XX’의 형태로 두 자리의 국가코드를 포함해 추가로 입력한 뒤 평소 검색하듯 사용해 보면, 실제 사용자의 위치와 상관없이 설정한 국가의 검색결과를 보여주는 것을 볼 수 있고 세이프서치도 적용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음. 게다가, GL 파라미터는 HL 파라미터와 함께 못 해도 구글에서 10년 이상은 유지되고 있는 근본 URL 파라미터이니 구글의 변경사항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은 극히 드물다는 것도 장점이라고 할 수 있겠음. 물론, 앞으로 어떻게 될 지는 구글 맘임.
google.com/?gl=au&hl=en
참고로, 같은 국가의 구글로부터 받는 검색결과라고 해도 그 안에서 사용자의 언어 설정에 따라 우선 순위가 다르게 분류되기 때문에, 단순 세이프서치 우회 목적이 아니라 해외 국가의 검색결과를 제대로 확인하는 것이 목적인 사람이라면 위 URL처럼 GL 파라미터와 함께 HL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해당 국가의 주요 사용 언어를 지정하는 것이 더 정확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음. 그리고, GL 파라미터를 포함한 국가별 간편 링크는 글 하단에 따로 첨부했으니 편한 거 좋아하는 사람은 그 짝 가서 보셈.
#구글 검색 설정에서 국가 변경
놀랍게도,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구글 검색 설정에서 지역 설정을 변경하는 것 만으로도 GL 파라미터 값을 임의로 바꿔준 것과 동일한 검색결과를 볼 수 있음. 위 이미지처럼 GL 파라미터에 ‘jp’를 반영한 좌측 검색결과와 검색 설정에서 일본으로 지역을 변경한 우측 검색결과가 동일한 것을 볼 수 있고, 당연히 세이프서치 또한 활성화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음. GL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게 복잡하다고 느낀다면 그냥 이 짝과 같은 구글 우회 설정만으로도 동일한 결과를 볼 수 있으니 내키는 취향에 따라 사용하면 되겠음. 설정 방법은 링크된 글에 자세하게 써 놨으니 다시 언급하지는 않겠음.
#VPN 또는 프록시와 같은 우회 서버 사용
위 두 방법이 외부의 우회 프로그램 없이 구글 자체에서 지정되어 있는 위치정보 값을 변경하는 방식이라고 한다면, VPN과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는 것은 외부의 중계 서버 IP 자체를 빌리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겠음. 가장 큰 장점은 물리적으로 해외 IP 주소를 사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구글의 자체 업데이트로 인한 특이사항이 발생한다고 해도 절대 뒤지지 않을 구글 우회 방법이라고 볼 수 있겠음. 물론, 무료의 경우 대부분이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해서 동시에 쓰는 형태이다 보니 속도면에서 불편하기 짝이 없고, 구글만을 위해 굳이 유료 서비스를 사용하기엔 돈이 아까우니 필요한 사람만 쓰면 되겠음.
간편 해외 구글 링크 모음
검색 설정 내에서 지역을 변경하는 것도 편하기는 하지만 사용한 뒤에 정상적인 한국 구글을 사용하기 위해선 다시 한국으로 지역 설정을 변경해야 되니, 자신의 목적에 맞는 GL/HL 파라미터를 포함한 구글 링크를 즐겨찾기 해 둔 뒤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음. 아래 구글 우회 링크만으로도 충분할 거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국가와 언어로 설정된 검색결과를 보고 싶다면 국가코드와 언어코드로 검색하면 풀리스트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니 참고해서 해당 값만 변경해주면 되겠음. 여기서, 특정 국가의 정확한 검색결과를 확인하고 싶은 것이 아니라 단순하게 구글 성인인증 우회 목적이라면 HL 파라미터는 필요 없으므로 GL 값 까지만 포함해서 사용해도 되겠음.
- 미국 구글 링크(영어): https://google.com/?gl=us&hl=en
- 영국 구글 링크(영어): https://google.com/?gl=uk&hl=en
- 호주 구글 링크(영어): https://google.com/?gl=au&hl=en
- 캐나다 구글 링크(영어): https://google.com/?gl=ca&hl=en
- 독일 구글 링크(독일어): https://google.com/?gl=de&hl=de
- 네덜란드 구글 링크(네덜란드어): https://google.com/?gl=nl&hl=nl
- 러시아 구글 링크(러시아어): https://google.com/?gl=ru&hl=ru
- 일본 구글 링크(일본어): https://google.com/?gl=jp&hl=ja
물론, 구글 우회고 나발이고 검색한 관심사는 구글 계정에 차곡차곡 저장되어 검색창의 검색기록과 구글 광고에 반영되어 보이는 것은 마찬가지이니 방심한 상태에서 다른 사람에게 음부가 보여지는 안타까운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시크릿모드를 함께 사용하는 걸 추천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라면 과거의 구글 검색 기록 삭제 방법에 대한 글도 쓴 적이 있으니 필요한 사람은 보면 좋겠음. 아무튼, 여기까지 뿌이~V